한강의 다리

[재미있는 우리 역사 이야기를 아이들에게] 한강의 다리

0 1159

img_xl

한강의 다리는
주로 나루터가 있던 자리에 놓였어요.

부산과 서울 강남을 잇는 경부고속도로를
강 너머 강북 지역까지
이어 주는 다리도 생겼어요.
바로 한남대교예요.

img_xl (1)

다리가 놓이면 사람들이 많이 다니게 되면서
다리 주변의 지역이 발전하게 돼요.
마포대교가 좋은 예예요.
마포대교가 놓이면서 여의도는
정치, 경제의 중심지로 탈바꿈했어요.

img_xl (2)

비가 많이 오면
꼬르륵 물에 잠기는 다리도 만들었어요.
이름도 잠수교라 지었어요.

무너져도 다시 쉽게 만들 수 있도록
일부러 낮게 만들었어요.
6년 뒤, 잠수교 위에 반포대교가 세워져
2층 다리가 되었답니다.

img_xl (3)

1980년대부터는 다리를 놓을 때
이왕이면 아름답게 만들자는 생각을 했어요.
성산대교는 다리 바깥쪽을
반달 모양으로 만들어
둥근 곡선과 쭉 뻗은 직선이
조화를 이루도록 만들었어요.

img_xl (4)

성산대교는 아름다운
다리의 새로운 시대를 연 작품이에요.

반만년의 우리 역사를 보면
한강은 우리의 삶과
한시도 떨어져 흐르지 않아요.
고려와 조선 시대에는
물자를 나르는 길로써막중한 역할을 했지요.

img_xl (5)

한강은 여전히 우리의 삶과 함께 흐르며,
대표적인 휴식 공간이지요.

img_xl (6)

: )

​남편은 시댁에 갈 때마다
몇 번이나 물어봅니다.

“지금 타고 있는 고속도로가
무슨 고속도로지?”
“영동? 아, 경부인가?”
“못살아~ 중부내륙이지!
아니, 시댁가는 게 지금 몇 번 째인데
아직도 고속도로 이름을 헷갈려해?
진짜, 길치다. 길치…”

뒤에서 아들둘 보살피랴,
앞에 있는 큰애 신경쓰랴,
나도 멀미나는 것 참으랴,
얼마나 정신이 없는데…

지난 주말, 외출길.
남편이 또 물어봅니다.

“지금 지나는 한강 다리가무슨 다리지?”
“반, 반포대교인가? 마포인가…”
“에휴… 말을 말자, 말을.”

아니, 한강다리를 꼭 알아야하나요?
안전하게 건너면 되는거지!

오늘 퇴근해 돌아오는 남편에게
물어볼 심산입니다.

“첫째 학교에서 몇 번이지?”
“5번인가..?”
“아니지, 3번이지!
아빠가 애 번호도 몰라?”

“둘째 운동화 사야하는데
사이즈 알고 있어?”
“180?”
“그건 첫째 사이즈고, 둘째는 170이지!
아들 발 사이즈도 모르고, 참 나!”

“지금 막내가 왜 우는 지 알아?”
“똥 쌌나..?”
“아니지, 형아가 과자 안주니까 울지!
어떻게 그것도 몰라?”

아빠에게 도로 이름, 한강 다리 이름이
중요할 지 몰라도~
엄마에겐 아이가 최고로 중요하다는 사실!

“남편, 까불지 말라공!”

img_xl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