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s Posts tagged with "엄마 스트레스"

엄마 스트레스

0 2871

Q. 저는 43개월이 되어가는 남자아이를 키우고 있어요. 아이는 어른을 보면 인사도 잘하고 대답도 잘한답니다. 특히 할머니들을 굉장히 좋아하고요. 그런데 놀이에 있어서 지는 것을 못 참아 해요. 가위바위보를 하면 분명 졌는데 자기가 이겼다고 좋아하고요.

‘가위는 바위를 못 이겨 바위가 이긴 거야’ 라고 설명해도 자기가 이겼다고 합니다. 요즘에는 카드게임에 푹 빠져있습니다. 카드에 점수가 적혀 있고 3장의 카드의 점수를 합산해서 이기고 지는 그런 게임을 하는데, 처음에는 그 카드 중 가장 점수가 높은 카드를 꼭 아이가 가지려고 해서 그렇게 하면 엄마는 하지 않겠다고, 둘 다 모르게 해야 하는 거라고 말해주었습니다.

이제는 그 높은 점수카드를 본인이 가지겠다는 것은 포기한 것 같은데 게임 끝에 점수를 합산해서 자기가 이기면 좋아하고, 지면 울어버리네요.

‘그래서 모든 게임에서 이길 수만은 없다고 질 수도 있다고, 다들 지는 건 좋아하지 않지만, 게임이니 어쩔 수 없는 거라고, 자꾸 이기려고만 하면 친구들이 같이 놀지 않을 거라고’ 하며 설명을 했지만 아이는 ‘이기고 싶었다’고 하면서 울더라고요. 아이가 이겼을 때 제가 ‘엄마는 게임에서 져서 속상하다고’ 했더니 아이가 ‘질 수도 있는 거지’하며 저를 달래네요.

아이가 생기기 전에 다른 아이들이 졌다고 화내고 울면 좋게 보지 않았는데 제 아이가 그러니 굉장히 당황스럽고 굉장히 고민이 됩니다. 그렇다고 항상 이기게만 하는 것도 아닌 것 같고 또 항상 지게만 하면 아이가 상처받을 것 같고 너무 어렵네요.

#승부욕이강한아이

이임숙 샘: 안녕하세요?

인사성도 밝고 자기표현도 잘하는 활달하고 사랑스러운 아이네요. 그런데 항상 이기려고 하는 태도가 엄마를 힘들게 하는 것 같아요. 그럴 때마다 엄마는 어떻게든 아이의 과한 욕심을 가라앉히고 공정하고 배려하는 행동을 하도록 가르치시지만, 마음처럼 잘 안 되실 거예요. 잘 안되는 이유가 있어요.

그건 아이의 타고난 기질과 관계가 있기 때문입니다. 이럴 때 부모에게 도움되는 심리적 지식이 있어요. 선택이론에서 말하는 4가지 심리적 욕구입니다.

①사랑과 소속의 욕구 ②즐거움의 욕구 ③자유의 욕구, ④힘과 성취의 욕구

이중 아이는 어떤 욕구가 강한 아이일까요? 어쩌면 힘과 성취의 욕구가 무척 강한 아이가 아닐까요? 지금껏 노력해도 잘 고쳐지지 않는 이유는 이런 욕구는 타고난 것이며 일생 변하지 않기 때문이지요.

힘과 성취의 욕구가 강한 아이는 그야말로 이겨야 사는 것 같아요. 놀이에서도 게임에서도 그 어떤 것에서도 늘 이기는 것에 가치를 두지요. 이런 아이에게 져도 된다는 걸 가르치기는 무척 어렵습니다. 그러니 지금까지와는 다른 관점에서 아이 마음도 흡족하면서 동시에 엄마가 원하는 모습을 가진 아이로 키우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그러지 말라고 말리는 것이 아니라 진짜 제대로 이길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사소한 것에서 져도 받아들일 수 있는 마음의 여유가 생기게 됩니다. 그래야 아이도 자신을 이해하고 마음을 조절할 수 있는 사람으로 커 갈 수 있어요.

다시 한 번 강조하지만, 아이가 바라는 것을 못하게 하는 것이 아니라, 지지하고 격려하며 공정하고 타당한 방법으로 잘해갈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렇지 않고 자꾸 지적하고 고치려고만 하면 아이는 늘 이기지 못해 불만이고 다른 사람을 원망하거나 그야말로 부정한 방법으로도 이기기만 하려는 행동이 강화될 수 있으니까요.

이제 어떻게 아이를 도와주면 좋을지 알아보겠습니다.

1. “진짜 이기고 싶었구나. 잘하고 싶었구나. 그런 마음을 가진 건 정말 좋은 일이야. 네가 열심히 하도록 도와줄 거야.”

이런 말로 잘하고 싶은 마음을 지지하고 격려해 주세요. 그럼 마음을 진정하고 다음엔 어떻게 할지 생각할 수 있어요.

2. 진짜 이기는 것에 대한 새로운 개념을 알려 주세요.

‘졌지만 이긴 경기, 이겼지만 진거나 마찬가지’라는 개념이 있다는 걸 말해 주는 것도 좋습니다. 졌지만 정정당당하게 최선을 다해 모든 사람의 칭찬과 응원을 받은 사람이 나중에도 많은 사람의 사랑을 받으며 성공했다는 사례. 반대로 이겼지만, 상대를 배려하지 않고 잘난 척하거나 편법이나 불법을 사용해서 오히려 사람들의 미움을 받았다는 얘기도 좋아요.

3. 졌지만 잘한 점, 노력한 점을 찾아 말해 주세요.

이기고 싶은 아이들은 그 과정에서 보통 아이보다 더 많이 노력합니다. 그러니 졌음에도 불구하고 얼마나 노력했는지, 잘한 점이 얼마나 많은지 꼭 찾아서 들려주는 일이 중요해요.

한 달 전, 일 년 전을 비교하면서 너무 잘 자라고 있고, 무엇을 하더라도 많이 노력하기 때문에 점점 더 굉장히 잘하게 될 거라는 말을 들려주세요.

4. “더 잘할 수 있도록 도와줄게. 새로운 방법을 배우고 싶어?”

이런 말이 필요합니다. “괜찮아 못해도 돼”라는 말이 아니라 자신이 원하는 걸 이루기 위해 어떤 노력이 필요한지, 새로운 방법을 배우고 싶은지 물어보세요. 물론 그 선택도 아이가 하도록 기다려 주시는 게 좋아요. 자신이 선택해야 더 기분 좋게 배우는 일에 몰입할 수 있으니까요.

5. 반칙할 땐

가위바위보에서 졌는데도 이겼다고 우길 땐 그건 반칙이니 반칙패이고, 그래서 엄마가 이긴 거라고 냉정하게 설명해 주어도 괜찮아요. 처음 몇 번은 아이가 억지 부리며 울겠지만, 그 시간이 지나고 나면 게임의 규칙을 받아들일 수 있을 거예요. 올림픽 선수가 금메달을 땄다가도 반칙한 게 들통 나서 금메달을 빼앗긴 이야기를 들려주어도 좋아요.

6. 그리고 마지막으로 아이가 정당하게 이겼을 때는 충분히 칭찬해 주세요.

진짜 멋지게 정정당당하게 이겨야 진짜 기쁘다는 걸 배우게 될 테니까요. 반칙하고 싶은 마음, 포기하고 싶은 마음을 참아내고 정정당당한 선택을 한 경우를 잘 찾아 격려해 준다면 아이는 멋지게 성취해 가며 자랄 거라 기대됩니다.
#책속의한줄

0 1418

Q. 저희 아들은 초등학교 2학년입니다. 아들이 학교가 싫다고 해요.
5월부터 학교에서 분노조절이 안 되어 아이도 힘들어하고 선생님, 반 친구들도 모두 힘들어하고 있습니다. 모래 놀이 치료를 시작한 지 한 달 쯤 되어가는 데 아직 효과는 없습니다. 자기가 공부를 너무 못한다며 늘 자신 없어 하고 무기력하고, 집중력도 많이 떨어지고요.

아침마다 화내지 않고 잘해보겠다고 다짐하며 등교하는 아이 모습이 짠하고 안쓰러워요. 담임선생님은 아이의 의지로는 안될 것 같다며 소아정신과 진단을 받고 치료를 받았으면 하시는데 엄마인 제가 아이를 도울 방법 좀 가르쳐주세요.

#분노조절이안되는아이

이임숙 샘: 안녕하세요?

2학년 아이가 학교 가기를 싫어하고 학교에서는 분노 조절을 못 해 힘들어하네요. 모래 놀이치료를 시작했는데도 아직 변화가 없어 더 마음이 힘드실 것 같아요.
저는 아이가 자신이 공부를 못하는 점, 자신감이 없고 무기력하고 집중력도 많이 떨어지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는 점이 마음에 걸립니다. 어쩌면 이런 것들이 원인이 되어 학교 가기를 싫어하고 분노조절에 어려움을 겪는 거라는 생각이 들어요. 그런데도 아침마다 화내지 않고 잘해보겠다고 다짐하는 아이가 한편으로는 참 대견하다는 생각도 듭니다.

우선, 5월부터 분노 조절이 안 된다고 말씀하신 부분이 궁금합니다. 만약 어릴 때부터 충동성이 있고 화를 조절하지 못했다면 기질적인 문제를 의심해 볼 수 있겠지만, 그 이전엔 괜찮았고 5월부터 그런 현상이 생겼다는 건 뭔가 속상한 사건이 있어 마음이 힘들어진 건 아닐까요? 아니면 조금씩 누적되어 오던 스트레스가 이제 더이상 감당하지 못할 수준이 되어 터져버린 것일 수도 있겠지요.

중요한 건 사건 자체보다는 그 사건을 해석하는 방법에 따라 방향이 달라진다는 점이지요. 현재 아이는 어떤 사건이든 자신의 무능함과 그에 따른 좌절감으로 결론짓는다는 생각이 듭니다.

아이를 힘들게 하는 주된 심리적 원인은 결국 자기 자신에 대한 무능감, 좌절감 등일 것 같습니다.

공부 못하는 것에 좌절하고 집중력도 떨어지고 무기력해지는 아이라면 급하게 부모가 도와주어야 할 것이 있습니다.

1. 인지적 재미를 경험하게 해 주세요.

재미에는 정서적 재미와 인지적 재미가 있습니다. 유아기에는 정서적으로 잘 놀기만 해도 만족감이 크지요. 그래서 유아기의 웃음은 심리적 건강의 필수요소입니다. 그런데 초등학생이 되고 점점 커가는 아이에겐 정서적 재미를 능가하는 인지적 재미가 필요합니다.
뭔가를 새롭게 배웠을 때의 즐거움, 어려운 문제를 해결했을 때의 성취감, 이런 것들이 인지적 즐거움의 중요한 부분들이지요.

2. 멋진 결과물을 기록으로 남겨 주세요.

아이가 좋아하는 취미나 소재를 발전시켜주는 것입니다. 레고 블록을 좋아하면 레고로 다양한 작품을 만들고 사진을 찍어 포트폴리오를 만들어 주세요. 단순히 만들었다 허물었다 하는 것과 다른 차원으로 자신의 결과물이 축적되면 뿌듯하고 더 큰 즐거움을 맛보게 되지요. 이런 활동이 아이의 마음이 큰 힘이 되어 자신감도 생기고 자존감도 올라가게 된답니다.

3. 지금까지 몰랐던 새로운 방법을 알게 해 주세요.

어렵기만 한 수학을 카드놀이처럼 놀았는데 쉽게 이해하게 된다면 아이는 새로운 깨달음을 얻게 된답니다. 교과서나 학습지로 하는 공부만이 공부가 아닙니다. 다양한 방법을 통해 얼마든지 공부할 수 있다는 걸 아는 것만으로도 아이는 힘이 난답니다.

이런 방법들이 분노 조절에 어떻게 도움이 되는지 궁금하실 거예요. 사실 화를 참는 건 무척 어려운 일입니다. 따라서 화가 나는 걸 참으라고 하기보다 화가 덜 나도록 상황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갖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런 경험이 누적된다면 아이는 화를 조절하게 될 뿐 아니라 화가 나는 상황 자체가 아주 많이 줄어들게 됩니다. 마음에 힘이 생기고 새로운 걸 배우는 즐거움을 아는 아이는 또 다른 해결책을 쉽게 찾게 될 것입니다.

아이가 편안하고 즐거운 마음으로 학교에 가게 되기를 진심으로 바랍니다.

#책속의한줄

SNS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