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감기벌레는
집 짓기를 아주 좋아해요.
“엄청나게 지저분한 곳을
찾아야 해!”

파란색 감기벌레는
외출했다 돌아오는 민호를 발견했어요.
“오호! 찾았다!”
그런데 이럴 수가!
민호가 뽀드득뽀드득
깨끗하게 손을 씻지 뭐예요?

콧 속으로 들어간 청록색 감기벌레는
아주 지독한 놈이었어요.
한 채, 두 채, 세 채…
계속해서 알록달한
집을 지어 나갔어요.
“뚝딱뚝딱!”
“야호, 신난다!”

민호는 훌쩍훌쩍 코를 흘리고
콜록콜록 기침을 했어요.
목은 까칠까칠, 머리는 지끈지끈,
화끈화끈 열까지 났어요.
민호는 힘을 내고 엄마가 정성껏
차려 주신 밥과 반찬을
냠냠냠 골고루 먹었어요.

민호는 약도 씩씩하게
꿀꺽 삼켰어요.
감기벌레들은 더 이상 민호의
몸속에 머무를 수 없었어요.

감기벌레들에게는 집 지을 때,
꼭 지켜야 할 규칙이 생겼어요.
그것은 바로
손 잘 씻고, 양치질 잘하고,
밥 잘 먹고, 약 잘 먹고,
잠도 잘 자는 어린이들에게는
절대로 절대로 집을
짓지 말라는 것이었대요.

: )
몸도 으슬으슬하고,
자꾸만 몸이 무거워지는 게
아.. 몸살감기 기운입니다.
이렇게 감기 증상이
스물스물 느껴질 때,
누구나 생각나는 게 있지요.
누구는 알싸한 생강차,
누구는 뜨끈한 온돌방,
누구는 그리운 엄마 목소리.
제가 이럴 때마다 찾게 되는 건,
엄마가 손수 데워주시던
따끈따끈한 쌍*탕.
감기증세 있을 때마다
주머니에 넣어 쏙 주시던
엄마의 따스한 온기.
이따가 엄마께
전화드려야겠습니다.
“엄마, 나 몸이 으슬으슬해~”
하고 말하면 우리 엄마는
분명 이렇게 말씀하실 겁니다.
“애들만 챙기지 말고
쫌 너도 챙겨입고 다녀!
애들 데리러 가면서 약국 들려서
뜨끈한 쌍*탕 하나 사먹고 가, 응?
내가 그럴 줄 알았어. 내복도 좀 입고…”
아셋맘은
쌍*탕을 좋아합니다.
엄마의 잔소리에 담긴
따스한 온기를 좋아합니다.
